자기개발
AI 대화 이용 시 개인정보 보호 방법 : ChatGPT 클로드 안전 사용법🔒
by we119
2025. 8. 21.
AI 챗봇 사용 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막는 실천 방법. GPT, Claude 등 AI 대화 서비스 안전 이용법과 개인정보보호 전략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 AI 대화의 편리함 뒤 숨겨진 위험
여러분들은 챗GPT를 계속 사용하며 어떤 생각(느낌)을 가지고 계신가요?
사용하면 사용할 수록 편리하기도 하지만, 간혹 당혹감을 느끼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또 사용하다 보면 개인정보를 최소한이지만 사적으로 민감한 정보들을 입력 할 때는 없으신가요?
편리함에 취해 있 무심코 입력하는 개인정보. "이 정보가 어디로 갈까요?"
AI 를 사용하며 "이 정보가 유출되어도 괜찮을까?"를 항상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즉, AI를 안전하게 사요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입력 최소화, 서비스 신뢰성 확인, 기록 관리를 잘해야 됩니다.
실제로 2023년 3월 챗GPT에서 한국인 이용자 687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국내 기업에서도 엔지니어가 시스템 오류 수정을 위해 생성형 AI에 기밀 소스코드를 입력하여 정보 유출이 발생한 사례가 있습니다.
AI 대화 개인정보 보호 방법
ChatGPT 사용자의 63.8%가 무료 버전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이 입력한 데이터의 53.5%가 민감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에서는 직원들이 기밀 소스코드를 ChatGPT에 입력하는 사례가 발생한 후 ChatGPT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025년 8월 6일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를 발간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AI 프라이버시팀'을 10월 중 신설하여 AI 모델·서비스 개발 사업자와의 소통창구를 마련했습니다.
AI 대화 서비스는 업무 효율성과 창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 기술입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 없는 편리함은 더 큰 위험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발표한 최신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AI 개발과 활용의 전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법 적용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기업·기관의 자율적 법준수 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정보 보호는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 정부, 사회 전체의 협력이 필요한 과제입니다.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갖고 실천할 때, AI 기술의 혜택을 안전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